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xchange Server5

DAG 구성 실패 에러 0xc8000713 해결 방법 위의 이미지와 같이 입력 후, 에러가 발생하면, 다시 업데이트 명령어를 수행하면 정상적으로 시드가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https://msexchangeguru.com/2015/09/27/e2013-unable-to-create-database-copy/ 2024. 11. 18.
Recipent not found by Exchange Legacy encapsulated .... If you face with above issue, it does mean that you have to refresh your address list. As far as I simulated alot for this issue and researched case happening this symptom, because of email account information's duplication.  Example, your email system has been migrated to another platform, however; you still retain the same email address. ie john.doe@contoso.com in IBM Notes and john.doe@contos.. 2024. 2. 7.
Exchange Server 데이터베이스 탑재 오류 아래와 같이 JET_SIGNATURE 오류가 발생한 경우다. 처음 경험한다. 이럴 경우, 언제나 eseutil /mh 옵션을 사용해서 해당 데이터베이스의 헤더 파일을 읽고, 현재의 상태를 진단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스크린샷은 찍지 않았기 때문에 예제 화면은 없다. 결과는 다행스럽게도 Clean Shutdown. 복구를 위해서는 현재 로그를 알아야 한다. 인터넷을 뒤져서 나오는 화면을 보고 무작정 e00 를 입력하는 사람들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실제 복구를 위해 필요한 현재 로그가 무엇인지는 로그가 저장되는 경로에서 직접 확인하는 것이 좋다. E08 파일과 E08로 시작하는 무수한 파일들이 있다. E08의 Checkpoint가 완료되면 다음에 생성되는 번호는 당연히 E09다. 베이스 로그를.. 2023. 6. 3.
Exchange Server 2016, 2019 메일 송수신 오류 아래는 온라인 기사의 전문이며, 그 아래에 해결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전송 중에 이메일이 전송될 수 있는 마이크로소프트 익스체인지 2016 및 2019 서버용 FIP-FS 엔진(Antivirus Engine)에 대한 수정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문제들은 해가 2022년으로 바뀌면서 처음 시작되었고, "마이크로소프트 익스체인지 Y2K22 버그"라고 불릴 정도로 소셜 미디어에서 널리 논의되었다. 마이크로소프트에 따르면, 이 문제의 핵심은 2021년에서 2022년으로 변경되는 날짜 확인 실패와 관련이 있다. 좀 더 기술적인 측면에서 마이크로소프트 Exchange 2016 및 2019가 설치된 온프레미스 서버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서명된 int32 변수를 사용하여 날짜 값을 저장.. 2022. 1. 2.
Exchange Server 설치와 Active Directory Domain의 관계 #1 윈도우 서버 2019 환경에 Exchange Server 2016을 설치해보기로 한다. 본 포스팅은 설치 단계를 안내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므로 사전 설치 단계는 생략한다. Exchange Server 설치를 위해 Active Directory Schema 를 확장한 다음, 새로운 조직 이름과 함께 AD를 준비한 상태다. 조직 이름은 NEWGM 으로 명명해 주었다. 이미 마이크로소프트 Docs 에서 Exchange Server 2016은 윈도우 서버 2019 환경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했으나, 별도로 확인해 볼 필요가 있어서 부득불 설치를 진행했으나,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며 더 이상 설치가 진행되지 않았다. 위 준비 검사 단계에서 실패 하자마자 AD 서버에서 ADSIEDIT를 실행 후, 구성.. 2021. 12. 3.
반응형